본문 바로가기

광주의 문화재 (북구)44

전상의장군 예장석묘(全尙毅將軍 禮葬石墓, 기념물 제3호) 전상의장군 예장석묘(全尙毅將軍 禮葬石墓, 기념물 제3호) 광주 북구 화암동 산239 이 예장석묘는 조선 인조 때 무신(武臣)으로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평안도 안주에서 후금(後金 : 淸)군과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한 구성도호부사(龜城都護府使) 전상의 장군을 모신 묘소이다. 장군은 1575년(선조 8)에 광주 서구 구동에서 전용(全蓉)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력이 뛰어났는데, 특히 활 솜씨가 출중했고, 29세 때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을 첫 벼슬로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1627년(인조 5)에 일어난 정묘호란 때 안주성 전투에서 중영(中營)을 지키던 평안병사 남이흥(南以興)과 안주목사 김준(金浚)이 연일의 싸움에 병력과 화살이 바닥나자 화약고에 불을 지르고 자살하자 장군은 총탄•화살을 수습하.. 2023. 6. 4.
전라남도 도청 회의실 신축설계도(全羅南道 道廳 會議室 新築設計圖, 유형문화재 제24호) 전라남도 도청 회의실 신축설계도(全羅南道 道廳 會議室 新築設計圖, 유형문화재 제24호) 광주 북구 비엔날레로 111(용봉동) 이 설계도는 1930년경에 전라남도 회의실을 신축하기 위해 한국인 건축가 김순하가 작성한 것이다. 이 도면은 얇은 천에 양면에 무엇인가를 입힌 듯한 불투명한 재료 위에 가는 필과 먹으로 그린 것이라 짐작된다. 현재 두번째 도면이 빠지고, 제1호부터 제9호 도면까지 남아있는데, 전체 매수는 알 수 없다. 제1호에 그려진 정면도, 입면도, 평면도 등은 축척을 백분지일로 하였고, 각 부분의 상세도는 이십분지일로 작성하였는데 상세도에서는 재료, 크기 등을 자세히 글씨로 써 넣었으며, 철근 배근도도 포함되어 있다. 도면에 사용된 길이의 단위는 척(尺)을 사용하여 당시 건축설계도에서 미터법이.. 2023. 6. 4.
전남대학교 인문대 1호관(全南大學校 人文大 一號館, 등록문화재 제96호) 전남대학교 인문대 1호관(全南大學校 人文大 一號館, 등록문화재 제96호) 광주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1955년 전남대학교에서 가장 먼저 지어진 벽돌조 박공지붕 3층 건물로 조형적인 처리가 돋보인다. 중앙현관부분의 아치형 출구 및 창틀, 페디먼트형의 박공지붕면 등 신고전주의적 건축물로 학교건물의 역사성과 조형성 등 상징성이 높은 건물이다. 2023. 6. 4.
장흥임씨묘 출토복식(長興任氏墓 出土復飾, 중요민속자료 제112호) 장흥임씨묘 출토복식(長興任氏墓 出土復飾, 중요민속자료 제112호) 광주 북구 비엔날레로 111(용봉동) 임진왜란 때 의병장 이였던 김덕령(1567∼1596)장군의 조카며느리인 장흥 임씨(任氏)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장흥 임씨의 생존시기가 김덕령 장군과 같은 시대로 기록됨에 따라 이 의복의 착용연대도 1590년대로 추정된다. 저고리 3점, 속바지 2점, 목면철릭 1점, 직령포 1점과 머리싸개, 멱목 등의 수의용품 17점이 출토되었다. 유물 중 철릭은 임진왜란전에는 여자들도 철릭을 착용했음을 밝혀주는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으며, 목판깃과 반달깃 저고리가 함께 출토됨에 따라 서로 다른 깃이 같은 시대 존재했음을 알려 주고 있다. 또한 출토된 속바지 2점은 시흥의 동래 정씨(鄭氏) 묘소에서 출토된 아래가 .. 2023.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