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의 문화재 (북구)44

환벽당(環碧堂, 기념물 제1호) 환벽당(環碧堂, 기념물) 광주 북구 환벽당길 10(충효동) 가사문학관에서 자미탄 다리를 건너면 왼편으로 난 작은 오솔길을 만날 수 있다. 잠시 조선 중기 시대로 돌아가는 듯싶은 숲길이 예사롭지 않다. 제법 가파른 층계가 잠시 멈춰 서서 숨을 고르게 한다. 뒤를 돌아 바라보니 분지 속에 들어앉은 듯 능선이 가지런하고 지실 마을도 평화롭다. 고요하고 한가로움이 세상의 온갖 번민을 다 씻어내는 듯하다. 환벽당 가는 길은 이처럼 은근하고 수줍은 색시마냥 숨어 있는 품이 아름답기 그지없다. 나주 목사를 지내고 향리에 돌아와 환벽당을 짓고 후학을 가르치던 사촌 김윤제는 여생을 이곳에서 보냈다. 환벽당이란 ‘푸르름을 사방에 둘렀다.’라는 뜻이다. 당호에 걸맞게 풍광이 아름답다. 정자 뒤편으로는 대밭이 울울창창하다. .. 2023. 6. 13.
광주 교육대학교 본관(光州 敎育大學校 本館, 등록문화재 제97호) 광주 교육대학교 본관(光州 敎育大學校 本館, 등록문화재 제97호) 북구 필문대로 55(풍향동) 광주사범학교 강의실로 지어진 벽돌조 모임지붕 2층 건물이다. 1939년 지어졌으며 후면증축부 등 일부 변형이 있으나 초기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었다. 건물현관부를 강조하여 밖으로 돌출시키고 좌우대칭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몇 안 되는 학교건물로 역사성, 상징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2023. 6. 13.
화순 대곡리 출토 선사유물 화순 대곡리 출토 선사유물 전라남도 화순군 대곡리 영산강 구릉에서 발견된 청동기시대의 무덤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출토된 청동기 유물 중 세형동검(청동검) 3점·청동팔령두 2점·청동쌍령구 2점·청동손칼(청동삭구) 1점·청동도끼(청동공부) 1점·잔무늬거울(청동세문경) 2점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세형동검은 양 끝에 날이 서 있으며, 그 중 1점은 칼날 부분이 손상되어 있다. 동검 중앙에 굵게 나온 등대의 모습이 칼마다 다른 것이 특징이며, 한국에서 출토되는 동검으로는 시대가 늦은 편이다. 청동팔령구는 8각형의 별모양으로 생겼으며, 각 모서리에 방울이 달려 있다. 그 안에 청동구슬을 넣어 흔들면 소리가 나는 것으로, 주술적·종교적인 의식용 도구로 보여진다. 방울 표면에는 고사리문양이 새겨져 있다. 청동쌍령.. 2023. 6. 12.
광주학생독립운동발상지-광주일고(光州學生獨立運動發祥地-光州一高, 기념물 제26호) 광주학생독립운동발상지-광주일고(光州學生獨立運動發祥地-光州一高, 기념물 제26호) 광주광역시 북구 독립로 237번길 33(누문동 ) 1929년 11월 3일에 일어난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주도하였던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이 다니던 학교의 교사부지 일부를 문화재로 지정한 것이다. 광주고보는 1920년 5월 1일에 현재의 무등극장 자리에 위치한 ‘광주 광산관’에서 개교하여, 1922년 4월에 현재의 자리로 이전한 광주제일고등학교의 전신이라 할 수 있다. 광주제일고둥학교 교내에는 당시의 학생운동을 추념하기 위하여 1954년에 설립한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과 1997년에 건립된 ‘학생독립운동 기념 역사관’이 있다. 기념관에는 학생운동과 관련된 기증품, 사진, 졸업생 명부 등이 전시되어 있다. 광주학생운동은 광주에.. 2023.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