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당 송흠과 관수정(知止堂 宋欽,1459-1547과 觀水亭)
관수정(觀水亭, 문화재자료) 장성군 삼계면 내계리 1539년에 건립한 관수정은 조선 전기의 문신 지지당 송흠선생의 정자로 맑은 물을 보고 나쁜 마음을 씻는다는 뜻을 담고 있다. 주변에 천방사와 용암천이 있어 경치가 아름답다. 정자의 내부에는 당시대 친우인 홍언필, 전안국, 성세창, 신광헌, 김인후, 임억령 등의 제영(題詠)이 다수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에 전퇴인 골기와의 팔작지붕 건물로 겹처마를 돌렸다. 한편 관수정 옆을 흐르는 용암천 바로 건너편에는 기영정(耆英亭)이 있다. 기영정은 전라도 관찰사 송인수(宋麟壽, 1487-1547)가 1543년에 중종의 명을 받아 지었다. 기(耆)라 함은 ‘나이가 많고 덕이 높다(年高德厚)’ 는 뜻인데, 나이가 70이 되면 기(耆), 80이 되면 노(老)라 한다..
2023. 8. 28.
사암 박순(思庵 朴淳, 1523-1589)과 사암집
사암집 목판각(思庵集 木版刻, 유형문화재) 『사암집』의 초간본은 박순의 사후 그의 외증손인 이문망(李文望) 형제에 의해 간행이 추진되어 1652년 경 완산 통판 서필원(徐必遠)의 도움으로 전주에서 판각되었으나, 그 판본은 가화(家禍)로 인해 소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그 후 다시 박순의 방계 후손인 박이휴가 초간본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호남 관찰사 김병교(金炳喬)의 도움을 얻어 1857년 중간본을 간행하였다. 『사암집』은 전체 7권 3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현존하는 목판각은 크기가 가로 35cm, 세로 22cm, 두께 4cm이며, 모두 180매이다. 광주시립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사암 박순(思庵 朴淳, 1523-1589)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화숙(和叔), 시호는 문충(文忠), 호는 사암이다. ..
2023.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