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의 문화재 (북구)44

광주 수창초등학교 본관(光州 수창초등학교 本館, 등록문화재 제95호) 광주 수창초등학교 본관(光州 수창초등학교 本館, 등록문화재 제95호) 광주 북구 금남로 99(북동) 광주서방공립보통학교로 개교된 본관건물은 내부계단, 중앙홀 격자천장 등 전반적으로 옛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광주지역에서 일제강점기에 건립된 몇 안 되는 초등학교 건물로 지붕의 굴뚝 등 건물 일부가 철거되었으나 건물 내 외관의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2023. 6. 2.
광주 십신사지 석불(光州 十信寺址 石佛, 유형문화재 제2호) 광주 십신사지 석불(光州 十信寺址 石佛, 유형문화재 제2호) 광주 북구 비엔날레로 111(용봉동)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십신사지 석불이다. 머리에서 대좌까지 모두 화강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조각 수법이 고졸한 편이다. 논산 관촉사의 미륵불과 궤를 같이 하는 작품으로 고려시대 석불의 하나로 고려시대 지방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민머리에는 구멍이 있어 보관을 썼던 것으로 보이며 타원형의 평판적인 얼굴에서는 토속적인 수호신의 표정이 느껴진다. 돌기둥의 형태를 변형하지 않고 얼굴 너비와 거의 같은 너비로 어깨를 만들어 신체는 위축된 모습을 보여준다. 오른손은 가슴 쪽으로 들어 보주(寶珠)같은 것을 쥐고 있으며, 왼손은 배에 대어 옷자락을 잡고 있는데, 얼굴에 비해 경직된.. 2023. 6. 2.
광주 북동 천주교회(光州 北洞 天主敎會, 기념물 제25호) 광주 북동 천주교회(光州 北洞 天主敎會, 기념물 제25호) 광주 북구 금재로 76(북동) 광주 최초의 천주교회로서 의미가 깊은 북동천주교회는 1937년 전라남도가 광주교구로 승격되면서 주임신부로 부임한 구신부 (Rev. Thomas Quinlan)가 중국인 교우 가요셉에게 의뢰하여 지은 박공지붕의 조적식 건물이다. 평면은 좌우 대칭의 세장한 장방형으로 전면에 종탑과 후면에 장방형의 후진(Apse)을 배치한 보편적인 성당건축과 유사한 평면형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1987년에 좌측의 제단과 제의실 사이를 일부 헐고 증축을 통해 회중석을 확장함으로써 현재 ‘ㄱ’자형 평면형태를 갖게 되었다. 내부공간을 보면 출입구와 회중석 사이의 공간인 전실(Narthex)에 두 개의 석조원형기둥을 두어 회중석과 경계로 이.. 2023. 6. 2.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光陽 中興山城 雙獅子 石燈, 국보 제103호)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光陽 中興山城 雙獅子 石燈, 국보 제103호) 광주 북구 박물관로 114(매곡동) 이 석등은 간주(竿柱) 대신 두 마리의 사자가 조각된 독특한 양식으로 정사각형의 지대석(地臺石) 위에 안상(眼象)과 꽃잎 끝이 8각 면을 향하고 있는 연꽃(복연)을 새긴 하대석(下臺石)을 놓았다. 그 위의 간주에는 원형의 팔엽연화석(八葉蓮花石)이 있다. 간주석 대신 사실적으로 묘사된 두 마리의 사자가 서로 가슴을 맞댄 힘찬 모습으로 열 여섯 잎의 연꽃이 새겨진 상대석(上臺石)을 받치고 있는데, 뒷발은 받침을, 앞발은 상대석을 받치고 있다. 머리는 쳐들어 위를 향하도록 하여 입이 상대석과 연결되도록 하였다. 머리 뒤에 갈기가 있으며, 꼬리는 엉덩이에 말려 있다. 사자의 몸매가 날씬하며, 사지와 근육.. 2023.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