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0

면앙정 송순(免仰亭 宋純, 1493-1583)과 면앙정(免仰亭) 면앙정 송순(免仰亭 宋純, 1493-1583) 송순의 자(字)는 성지(誠之) 혹은 수초(守初), 호(號)는 면앙정 혹은 기촌(企村), 본관은 신평(新平)이며 시호는 숙정(肅定)이다. 박상의 문인으로 호남시가의 원조이며 김인후, 박순, 기대승, 고경명, 정철, 임제 등 많은 후진을 배출한 시가와 학문의 대가이다. 1493년 현 담양군 봉산면 기곡리 상덕마을에서 태어나 1513년 진사가 되고 1519년 별시문과에 급제, 승문원(承文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가 되었고,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홍문관직제학(弘文館直提學),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였다. 그 후 1547년 진문사(秦聞使)로 북경을 다녀왔으며 대사헌(大司憲), 이조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 1552년 면.. 2023. 8. 31.
소쇄공 양산보(瀟灑公 梁山甫, 1503-1557)와 소쇄원(瀟灑園) 소쇄공 양산보(瀟灑公 梁山甫, 1503-1557) 조선 중기의 유학자. 자는 언진(彦鎭), 호는 소쇄(瀟灑), 본관은 제주, 창암양사원(蒼巖 梁泗源)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부친의 호가 창암이라 하여 소쇄원이 있는 마을을 창암촌이라 하였다. 어릴 때 조광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는데, 성수침, 성수종 형제와 같이 입학하여, 이들과 친하게 지냈다. 17세인 1519년에 시행한 현량과(賢良科)에 응시하여 급제하였으나 합격자의 수가 많고 나이가 어린 때문에 대신들이 관직을 주지 말 것을 요청하여 벼슬은 받지 못했다. 이해 일어난 기묘사화로 인해 스승인 조광조가 능주로 유배되자 그를 따라 향리로 돌아왔다. 그해 12월 스승인 조광조가 유배지에서 사약을 받고 세상을 뜨자 큰 충격을 받고 고향으로 돌아와 자연에 숨어 .. 2023. 8. 31.
문화유산으로 찾아가는 조선중기 호남의 성리학자(1) 1. 머리글 조선중기 사림파(士林派)의 등장 조선은 성리학을 체제 이데올로기로 삼아 성립한 왕조이다. 신유학, 또는 주자학이라 불리기도 하는 성리학은 남송 때 사람인 주희(朱熹, 1130-1200)에 의해 이론체계가 확립된 학문으로 ‘인간의 본성 속에 하늘의 이치가 들어 있다’는 성즉리설(性卽理說)을 명제로 하고 있다. 성리학은 우주 만물이 본연지성인 이와 기질지성인 기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이기론(理氣論)을 중심으로 하여 인간 존재의 내면적 구조와 본질을 살피는 심성론(心性論), 도덕적 실천 원리와 수양 방법에 관한 수양론(修養論), 정치․사회적 질서의 원리와 방법에 관한 경세론(經世論) 등을 갖추고 있는 학문이다. 조선 중기 등장한 사림파(士林派)는 본래 지방에 근거지를 가지고 있는 중소지주 출신의.. 2023. 8. 31.
광주광역시 불교 문화유산 광주광역시불교 문화유산 높고 낮음이 없는, 그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무등등(無等等)의 경지를 가리키는 무등산(1187m)은 원효계곡(元曉溪谷), 의상봉(義湘峯), 장불재 등 불교와 관계있는 지명들을 많이 품고 있다. 그래서인지 너그러운 산골짝에 많은 절을 안고 있다. 조선 중기까지만 해도 30여 개소에 이르는 절집이 산자락 곳곳에 자리잡고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 무등산에는 증심사(證心寺), 원효사(元曉寺), 약사사(藥師寺) 등 아담한 절집만 남겨져 있을 뿐, 규모 있고 오래 묵은 절집은 찾을 수 없다. 삼국시대 백제의 옛 땅이었던 이곳에서 백제 때의 절집과 절터는 발견되지 않는다. 백제불교가 상당히 융성했음에도 백제의 세력권이었던 이 지역에서 당시의 절집과 절터를 발견하지 못했고 기록에서도 찾을 .. 2023.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