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벅수와 짐대

해학이 넘치는 절집지킴이(운흥사터 돌벅수)

by 햇살과 뜨락 2023. 5. 8.

  운흥사터 돌벅수는 불회사에서 나와 다도면소재지를 향해 가다 보면 암정리(巖井里)가 나온다. 암정리의 강정교라는 작은 다리에서 왼쪽으로 꺾어져 강정마을과 강정저수지를 넘어 약 2Km 남짓 가면 밭으로 변해버린 운흥사터가 나온다. 운흥사(雲興寺)는 도선국사가 암자를 지은 것이 기반이 된 절로 신라 효공왕(897~911) 때 크게 일으켰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절터만 쓸쓸하게 남아 있다가 최근에야 아담한 모습으로 다시 지어졌다.

  여기에 있는 돌벅수 한 쌍은 외할아버지, 외할머니의 자상함과 따뜻함으로 다가온다. 상원주장군이란 이름의 할아버지는 팔자형 수염에 벙거지를 쓰고 두툼한 주먹코에 쌍꺼풀진 왕방울 눈을 지녔다. 이가 성치 않은 듯 주름진 합죽한 입은 살그머니 웃고 있다. 드라큘라처럼 뻐드렁니를 가지고 있으나 무섭다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는다. 되려 품 안에 안기고 싶은 친근함을 느끼게 한다. 그러니 막상 절집 수호해야 할 본래의 역할을 잘할 수 있을지는 의심이 간다. 이 벅수는 270cm 남짓 되는 화강암에 새겨져 있다.

하원당장군이란 이름의 할머니는 양미간에 백호로 보이는 X자를 새기고, 둥근 눈에는 속눈썹을 표현하였다. 입술 언저리에는 수염인지 주름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선들을 새겨 두었고, 치아를 여러 개 드러내며 활짝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주걱턱을 하고 있는 이 할머니 벅수는 환하게 묻어나는 따스함으로 오가는 사람의 등을 토닥이며 맞아줄 것만 같다. ‘어디 댕겨 오는가 보네. 시원한 물이라도 한 모금하고 좀 쉬었다 가지 그랴’라고 하면서…. 키가 210cm로 할아버지보다 약간 작은 할머니 벅수의 뒷면에는 강희 58년, 그러니까 조선 숙종 때인 1719년을 가리키는 명문이 오목새김되어 있다. 기록이 없는 수많은 벅수들 중 언제 세웠는지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몇 안 되는 귀중한 돌벅수이다. 기록도 그렇지만 너그러움과 나눔으로 세상을 대하는 우리네 민초의 모습을 절묘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국가 민속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어 있다.  여기에 있는 돌벅수 한 쌍은 외할아버지, 외할머니의 자상함과 따뜻함으로 다가온다. 상원주장군이란 이름의 할아버지는 팔자형 수염에 벙거지를 쓰고 두툼한 주먹코에 쌍꺼풀진 왕방울 눈을 지녔다. 이가 성치 않은 듯 주름진 합죽한 입은 살그머니 웃고 있다. 드라큘라처럼 뻐드렁니를 가지고 있으나 무섭다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는다. 되려 품 안에 안기고 싶은 친근함을 느끼게 한다. 그러니 막상 절집 수호해야 할 본래의 역할을 잘할 수 있을지는 의심이 간다. 이 벅수는 270cm 남짓 되는 화강암에 새겨져 있다.  하원당장군이란 이름의 할머니는 양미간에 백호로 보이는 X자를 새기고, 둥근 눈에는 속눈썹을 표현하였다. 입술 언저리에는 수염인지 주름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선들을 새겨 두었고, 치아를 여러 개 드러내며 활짝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주걱턱을 하고 있는 이 할머니 벅수는 환하게 묻어나는 따스함으로 오가는 사람의 등을 토닥이며 맞아줄 것만 같다. ‘어디 댕겨 오는가 보네. 시원한 물이라도 한 모금하고 좀 쉬었다 가지 그랴’라고 하면서…. 키가 210cm로 할아버지보다 약간 작은 할머니 벅수의 뒷면에는 강희 58년, 그러니까 조선 숙종 때인 1719년을 가리키는 명문이 오목새김되어 있다. 기록이 없는 수많은 벅수들 중 언제 세웠는지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몇 안 되는 귀중한 돌벅수이다. 기록도 그렇지만 너그러움과 나눔으로 세상을 대하는 우리네 민초의 모습을 절묘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국가 민속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