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민사(忠愍祠)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050(화암동)
무등산의 석곡수원지를 끼고 청풍쉼터로 돌아 나와 운암서원을 지나면 충민사가 나온다. 운암서원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황산벌싸움에서 전공을 세운 해광 송제민 선생의 사우다. 운암서원 지척에 있는 곳이 바로 충민사다. 충장사 가기 전에 언덕배기에 자리한 충민사의 정경은 신비스럽기까지 하다. 옆으로 무등산 계곡을 끼고 석곡수원지를 내려다보며 정갈하게 앉아 있다. 충민사는 정묘호란 때 청나라 침략군을 맞아 안주성 싸움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우고 장렬히 순국한 구성 전상의(龜城 全尙毅, 1575∼1627)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구성공 전상의 장군은 1575년 광주 구동에서 출생하였으며, 고경명, 김덕령과 함께 광주 3충신 중 한 분이다. 어려서부터 남달리 용맹스런 힘과 무술이 뛰어난 장군은 29세 때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의 초임 발령 이후 내외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광해군 때는 일본에 건너가 임진 정유재란 때 끌려간 동포 150여명을 귀국시키는데 공을 세우기도 했다. 그 후 어모장군이 되어 대궐의 경비를 맡는 내금위의 최고 책임자를 맡았다.
장군은 말 달리고 활 쏘는 재주가 뛰어났다. 특히 활 솜씨는 누구도 추종을 불허하는 궁술의 소유자였다. 장군이 생을 마감하였던 안주성 전투 때는 활을 한번 당겨 쏘는데, 화살 3개를 매겨 쏘니 백발백중으로 수많은 적병이 나가 떨어졌다고 한다. 1627년 청 태종이 3만 대군을 몰아 의주에 돌입하여 파죽지세로 남하하자 청군이 청천강을 건너지 못하도록 안주성에서 배수진을 치고 지키게 되었다. 불과 수백의 군졸로 3만 대군을 막기는 역부족이었다. 그러나 장군은 백상루의 첫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등 5일간이나 필사적으로 사수하다가 결국 성이 적군에 의해 사면초가 상태에 처하자 칼로 자신의 목을 찔러 53세의 일기로 장렬히 산화하였다. 장군이 용전분투하여 버틴 5일은 조정이 관군을 편성하여 북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갖게 한 전상의 장군 안주성 싸움의 중요한 공로였다.
난이 끝난 후, 곧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추증되고, 이어서 안주로부터 출생지인 광주로 시신을 옮기어 이곳 충민사에서 서쪽으로 보이는 평두산에 예장하였다. 예장이란 국가에서 예를 갖추어 장사 지내는 것으로, 국장의 다음 가는 국가장이다. 그 후 1684년 숙종 때 충신정려를 내리고 1849년 광주 경열사에 추향되었다. 읍지의 기록에 의하면 광주의 역사에 남는 의로운 충신 14인 가운데 3인이 나라에서 정려를 받았는데, 고경명, 김덕령과 함께 전상의 장군으로 광주의 3충신이라 불려진 것이다.
장군의 예장 석묘는 1977년 광주광역시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었는데, 묘소에는 전상의와 부인 풍천 임씨 그리고 광산 김씨가 합장되어 있다. 지름 4.9 m인 묘소 주위에는 호석이 둘려 있고, 묘 앞에는 철종 8년에 세운 묘비가 있다. 유품으로 갑옷, 투구, 활, 검 등의 무구류와 교지, 완문, 완약 등 19점이 남아 있다. 19점의 유품은 다행스럽게도 1980년대 초에 서울 인사동 골동품가게에서 발견 되어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유물 중 갑옷과 관복 투구 등은 복제하여 충민사에 전시하고 활과 칼은 진품이 유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전상의 장군은 경열사에 추향되었는데, 대원군의 서원 훼철령에 의해 경열사가 훼철되었다. 그 후 1980년 경열사를 재건하였으나 정지 장군만 배향하게 되었다. 충민사는 1975년 사단법인 전상의 장군 유적보존회가 중심이 되어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입구에 1979년 신도비를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유적정화 사업으로 1982년 사우 건립에 착하여 1985년에 이곳에 충민사를 준공하기에 이른 것이다. 광주는 이런 전상의 장군의 뜻을 기리고자 광주고등학교에서 사구동에 이르는 거리를 구성로라 명명하여 부르고 있다.
'광주의 문화재 (북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효동 왕버들(기념물 제16호) (0) | 2023.06.05 |
---|---|
충장사(忠莊祠) (0) | 2023.06.05 |
정지장군 예장석묘(鄭地將軍 禮葬石墓, 기념물 제2호) (0) | 2023.06.05 |
전상의장군 예장석묘(全尙毅將軍 禮葬石墓, 기념물 제3호) (0) | 2023.06.04 |
전라남도 도청 회의실 신축설계도(全羅南道 道廳 會議室 新築設計圖, 유형문화재 제24호) (1) | 202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