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의 문화재 (광산구)24

고봉문집목판(高峰文集木板, 유형문화재 제19호) 고봉문집목판(高峰文集木板, 유형문화재 제19호) 월봉서원 장판각에 보관되어 있는 선생의 저술을 모은 『고봉선생문집(高峰先生文集)』은 현재 7종 15책으로 전하는데, 원집(原集), 속집(續集), 별집(別集), 논사록(論思錄), 왕복서(往復書), 이기왕복서(理氣往復書), 주자문록(朱子文錄) 등이다. 현존하는 고봉문집목판은 모두 474매이며 시기상으로는 17세기와 그 이후에 판각된 것으로, 조선 중기 이후의 철학사와 문예사 연구의 소중한 자료이다. 2023. 5. 31.
월봉서원과 빙월당(月峯書院과 氷月堂, 지방기념물 제9호) 월봉서원과 빙월당(氷月堂, 지방기념물 제9호)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 광곡마을 월봉서원(月峯書院)은 퇴계 이황(1501-1570)과의 사단칠정논변으로 유명한 고봉 기대승선생을 모신 서원이다. 1575년 선생이 돌아가신지 3년 되던 해에 광산군 비아면 산월리에 망천사(望川祠)를 세우고 선생의 위패를 모셨다. 서원은 1578년 지금의 신룡동에 처음 세워졌으나 정유재란 때 피해를 입고 1646년 산월동으로 옮겨 중건되었으며 1654년에 사액서원이 되었다.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로 없어졌다가 1941년 광산구 광산동 광곡마을(너브실)에 빙월당을 먼저 짓고, 이어 다른 사우들을 차례로 지어 1981년 현재의 규모를 갖추었다. 1671년 박상(朴祥), 박순(朴淳)의 위패를 옮겨 봉안했으며, 1673년 김장생.. 2023. 5. 31.
광주 장덕동 527번지 가옥(등록문화재 제146호) 광주 장덕동 527번지 가옥(등록문화재 제146호) 광주 광산구 장덕동 527 이 가옥은 효령대군의 손자인 율원군의 후손들이 거주한 주택으로 근대기에 지어진 개량한옥이다. 이 가옥은 2004년에 수완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어 철거 위기에 놓여 있었지만 조상 대대로 살던 터와 가옥을 지키고자 하는 소유자의 강력한 의지로 택지개발지구 내 근린공원으로 이전하여 보존되고 있다. 2023. 5. 31.
고내상성지(古內廂城址, 문화재자료 제10호) 고내상성지(古內廂城址, 문화재자료 제10호) 광주 광산구 송정동 250-4 광주광역시 송정동에 있는 이 성터는 태조 6년(1397) 전라도 병영을 이곳에 설치하면서 쌓았다가, 태종 17년(1471) 강진 병영성으로 옮기면서 사용하지 않은 성으로 고병영성이라고도 불린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재현서삼십리 석축 주일천육백육십일척(在縣西三十里 石築 周一千六百六十一尺)』이라 기록되어 처음에는 돌로 쌓았음을 알 수 있다. 이 성터는 송정동 용보촌, 상전, 고내상 일대인데 성벽은 거의 무너지고 송정동 253의 2번지 일대에만 흙으로 쌓은 토성(土城) 일부가 남아 있다. 또 성과 관련된 땅 이름이 남아있는데, 광주비행장이 ‘성안엣들’이라 불리 웠고, 고내상 서쪽 들이 ‘성너맷들’이라 하였다. 현재.. 2023.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