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재 정개청 (困齋 鄭介淸,1529~1590)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의백(義伯), 호는 곤재(困齋). 아버지는 세웅(世雄)이다. 어려서 중이 되어 보성의 영주산사(瀛州山寺)에 들어가 풍수설과 성리학, 지리, 의약, 복서 등을 배웠다. 그뒤 박순(朴淳)에게 10여 년을 배우고 1574년(선조 7) 전라감사 박민헌(朴民獻)의 천거로 1585년 교정청낭관을 거쳐 영릉참봉·나주훈도·전생서주부·곡성현감을 지냈다. 서인인 영의정 박순이 파직되자 동인인 정여립(鄭汝立)·이발(李潑) 등과 친교를 맺었다. 1589년 〈절의청담변 節義淸談辨〉을 지어 자신의 처지를 변명했으나 많은 사람들로부터 배절의론(排節義論)이라는 비난을 받았고, 정여립 모반사건이 일어나자 이에 연루되어 1590년 평안도 위원으로 유배되었고 함경도 경원으로 이배(移配)된 뒤 그곳에서 죽었다.
그는 정호(程顥)의 건원일기(乾元一氣)를 바탕으로 일기(一氣)의 품부(稟賦)가 고르지 않은 것에 따라서 천차만별이 있다고 했다. 이러한 '고르지 않음'[不齊] 그대로가 모두 천리(天理)라고 하고 선악이 모두 천리라고 하는 '선악개천리설'(善惡皆天理說)을 주장했다. 그러나 선악이 모두 천리라고 해도 인간에 있어서는 천리인 본연지성(本然之性)은 볼 수 없고 다만 기질지성(氣質之性)만 볼 수 있다고 하면서, 기질지성에 내재하는 이(理)는 다만 자연의 조리(條理)로서의 역할만을 할 뿐이고, 모든 자연의 도는 기의 작용에 의한 것이므로 기의 작용에 차이가 있더라도 본연지성은 변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의 문하에는 호남지방의 유력한 가문 출신들이 많이 있었으며 제자들에 의한 신원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616년 그를 봉사하는 자산서원(紫山書院)이 엄담(淹潭)에 세워졌다. 저서로는 곤재우득록(困齋愚得錄)이 있다.
자산서원(紫山書院)
정개청의 문집, 목판인 곤재우득록목판(64.5cmX26cm)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嚴多面) 자산서원에 보관된 정개청(鄭介淸:1529∼1590)의 문집, 목판인 곤재우득록목판(64.5cmX26cm)은 1987년 6월 1일 전라남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고성정씨(固城鄭氏) 종중에서 관리한다. 정개청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의백(義伯)이고 호는 곤재(困齋)이다. 고성정씨의 시조이며, 본래 천민 출신으로 어려서 중이 되어 풍수설을 배우고 역학(易學)·율려(律呂)에도 정통하였다.
1564년(명종 19) 천거로 임관하여 1585년(선조 18) 교정청의 낭관(郞官)을 거쳐 영릉(英陵) 참봉에 이어 6품에 올랐다. 그 뒤 서경덕의 문하에서 박순(朴淳)과의 교류를 통해 학문의 깊이를 더하였으며, 1565년 무렵 함평군 엄다면 제동마을로 귀향하여 향리에서 후생들을 길렀다. 그 뒤 20여 년 동안 이곳에서 살았다.
유일하게 남아 있는 정개청의 문집 《우득록》은 이기설(理氣說)을 비롯한 문학·철학·천문·역학(歷學) 등의 334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부록까지 합하여 4권이다. 1∼2권은 성리제설과 강의계서가 수록되어 있고, 3권에는 소답·서·제·문이 실려 있다. 서문은 허목(許穆)이 1681년(숙종 7)에 지었으며, 부록은 상권에 곤재의 세계와 사실이 수록되어 있고, 하권에는 곤재행장, 곤재전이 실려 있다.
《우득록》의 각판작업은 곤재의 필초본을 숙종이 보고 1689년 명을 내려 시작되어 1692년에 완성되었으며, 부록은 1703년에 완성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우득록》 각판은 모두 48매뿐이며, 원래의 108매 가운데 반 정도만 남아 있다. 곤재 우득록목판은 당시 호남 사림의 인맥과 활동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
자산서원에서 걸어서 내려오는 길에 곤재 정개청 시비(詩碑)가 있다. 1576년에 쓴 ‘회포’ 라는 7언시다.
“오막집 한 시렁에 가득 쌓인 책 만 읽다가
백 년 한 인생의 반이 흘렀네.
마음 위에 품은 뜻은 성현의 일 뿐인데
세상사람 귀현(貴顯)함을 바라봄이 없소이다.
'사림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흥선대원군의 서원 훼철령 (0) | 2023.09.17 |
---|---|
백호 임제(白毫 臨際, 1549 -1587)勿哭辭 (4) | 2023.09.04 |
설재 정가신과 설재서원, 쌍계정 (0) | 2023.09.01 |
필문 이선재부조묘(畢門 李先齊,1389~1454 不祧廟) (1) | 2023.09.01 |
고봉 기대승(高峯 奇大升, 1527-1572)과 (月俸書院) (1) | 2023.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