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래여좌상 및 복장유물(光州 紫雲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보물 제1507호)
광주 동구 지호로 106번길 8-8(지산동)
이 불상은 복장품에서 1388년 중수개금한 내용의 기문이 밝혀져 그 이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재료의 특성상 목제가 오랫동안 전래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고려시대에 조성된 목조 불상으로서 중요한 자료이다. 1276년에 제작된 개운사 목조 아미타불좌상을 비롯하여 수국사 목조아미타불좌상,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등 대체로 12세기 말에 제작되었다고 생각되는 일련의 목불좌상들과 같은 계열의 불상이다.
자운사의 복장전적은 대수구다라니(大隨求陀羅尼) 및 주금강경(注金剛經) 등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의미 있는 자료가 다수 있으며, 함께 발견된 복장조성기에 의해 복장이 조성된 절대연대가 확실하여 서지학 분야의 판본 연구는 물론, 불교학의 내용 연구와 미술사의 도상(圖像)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 복장 유물로 평가된다.
또한 섬유류의 유물이 존속하기 어려운 우리나라의 기후•환경 조건 등을 고려할 때 자운사 복장직물의 역사적•민속적 가치가 크다. 1611년에 내장된 후령통(候鈴筒)과 팔엽연화(八葉蓮花), 오보병(五寶甁)도 일괄 부속품으로 함께 지정한다.
'광주의 문화재 (동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등산 주상절리대(無等山 柱狀節理帶, 천연기념물 제465호) (0) | 2023.06.08 |
---|---|
노인 금계일기(魯認 錦溪日記, 보물 제311호) (0) | 2023.06.08 |
광주읍성 유허(光州邑城 遺墟, 문화재자료 제20호) (0) | 2023.06.08 |
광주약사암(光州藥師庵, 문화재자료 제2호),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 보물 제600호) (1) | 2023.06.08 |
광주 서석초등학교(光州 瑞石初等學校, 등록문화재 제17호) (1)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