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북동 천주교회(光州 北洞 天主敎會, 기념물 제25호)
광주 북구 금재로 76(북동)
광주 최초의 천주교회로서 의미가 깊은 북동천주교회는 1937년 전라남도가 광주교구로 승격되면서 주임신부로 부임한 구신부 (Rev. Thomas Quinlan)가 중국인 교우 가요셉에게 의뢰하여 지은 박공지붕의 조적식 건물이다.
평면은 좌우 대칭의 세장한 장방형으로 전면에 종탑과 후면에 장방형의 후진(Apse)을 배치한 보편적인 성당건축과 유사한 평면형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1987년에 좌측의 제단과 제의실 사이를 일부 헐고 증축을 통해 회중석을 확장함으로써 현재 ‘ㄱ’자형 평면형태를 갖게 되었다.
내부공간을 보면 출입구와 회중석 사이의 공간인 전실(Narthex)에 두 개의 석조원형기둥을 두어 회중석과 경계로 이용하고 있으며, 회중석은 세 부분으로 구획된 전면에서 추측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네이브(Nave)와 아일(Asile)의 경계가 없고 제단부와 감실은 목재로 마감하여 영역을 구분하였다. 좌측 면에는 제의실과 고해실을 두었다. 이층은 나르텍스(Narthex) 상부에 노대(Balcony)로 구성하여 성가대 석으로 사용하고 있다.
벽면과 갈색의 목재로 구획된 둥근 천장은 별다른 장식이 없이 흰색 플라스터로 마감하였다. 영식 쌓기로 마감한 벽면은 약 3m 단위로 버팀벽(buttress)을 세워 구획하였고, 모든 문과 창의 인방 및 원형 창에는 화강석으로 원형, 반원형의 아치를 둘렀으며 주 출입구는 4단의 물림아치(Recessed arch), 처마돌림에는 몰딩수법을 사용하였다.
'광주의 문화재 (북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수창초등학교 본관(光州 수창초등학교 本館, 등록문화재 제95호) (0) | 2023.06.02 |
---|---|
광주 십신사지 석불(光州 十信寺址 石佛, 유형문화재 제2호) (2) | 2023.06.02 |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光陽 中興山城 雙獅子 石燈, 국보 제103호) (0) | 2023.06.02 |
광산 노씨 분묘 출토 명기류(光山 盧氏 墳墓 出土 明器類, 민속자료 제6호) (0) | 2023.06.02 |
고운묘 출토유물(高雲墓 出土遺物, 중요민속자료 제239호)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