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충효동 도요지(光州 忠孝洞 陶窯址, 사적 제141호)
광주광역시 북구 풍암제길 14(금곡동)
무등산 북쪽 충효동에 자리잡은 가마터로,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까지 상감청자·분청사기·백자를 굽던 곳이다. 가마의 구조는 사람이 드나드는 출입시설·도자기를 집어넣는 번조실·굴뚝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둥근 무덤 형태가 연결된 모양으로 되어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과 출토유물의 연도를 통해 1430년을 전후해 만들어지기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 후 약 70∼80년간 자기제작이 지속되다가 16세기 초에 중단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초기에는 분청사기만 만들다가 백자가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같이 제작했으나, 분청사기의 무늬가 조잡해지면서 생산량이 줄어들었다. 반면 백자를 본격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하면서 질이 좋아지고 생산량도 늘어 분청사기가마에서 백자가마로 성격이 바뀌었다. 백자는 크기가 작은 것이 주를 이루는데 비해 분청사기는 크고 작은 것 모두 있고, 종류도 접시·종지·잔·병·항아리·벼루·제기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분청사기에 주로 사용된 무늬는 국화·나비·물고기·게·구름무늬 등이며 여러 무늬를 조합하여 그리기도 했다.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 운영되었던 곳으로, 청자부터 분청사기를 거쳐 백자로 넘어가는 과정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광주의 문화재 (북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곡동 제철유적(金谷洞 製鐵遺蹟, 기념물 제21호) (0) | 2023.06.02 |
---|---|
광주학생독립운동발상지-광주일고(光州學生獨立運動發祥地-光州一高, 기념물 제26호) (0) | 2023.06.02 |
광주 재명석등(光州 在銘石燈, 유형문화재 제5호) (0) | 2023.06.02 |
광주 십신사지 석비(光州 十信寺址 石碑, 유형문화재 제3호) (0) | 2023.06.02 |
광주 수창초등학교 본관(光州 수창초등학교 本館, 등록문화재 제95호)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