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굉필선생은 퇴계 이황으로부터 ‘도학(道學)의 으뜸 스승’이라는 뜻의 근세도학지종(近世道學之宗)으로 칭송받은 조선 전기의 유학자이다. 광해군 2년(1610년) 문묘(文廟)에 제향되었고 동국 5현(東國 五賢)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히는 분이다. 본관은 서흥(瑞興)이며 고려 후기에 사족으로 성장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예조참의를 지낸 증조부가 현풍 곽씨와 결혼해 처가인 현풍으로 내려오면서부터 현풍과 인연을 맺었다. 할아버지가 개국공신인 조반의 사위가 되어 서울 정동에 살게 되었는데, 선생은 여기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충좌위사용(忠佐衛司勇)이란 무관을 지냈던 김유(金紐)였다.
어렸을 때부터 호방하고 거리낌 없는 성격으로 저잣거리에서 잘못된 것을 보면 그 자리에서 메치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19살에 순천 박씨와 결혼해 합천군 야로(冶爐)현에 있는 처갓집 개울 건너편에 서재를 짓고 한훤당이라는 당호를 붙이고 지내다 뒤에 현풍으로 돌아와서는 지금의 도동서원 뒷산인 대니산(戴尼山) 아래에서 살았다. 1474년 김일손(金馹孫), 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지리적으로 가까운 함양에 군수로 재직중이던 김종직(金宗直)을 만나게 되어 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소학(小學)」을 중시한 그는 평생 소학을 손에서 놓지 않았으며, 누군가가 세상사에 대해 물으면 ‘소학동자가 무엇을 알겠는가?’라고 답할 정도로 소학에 심취해 소학동자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성종 때인 1480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했는데, 이때 유학은 제가치국평천하(齊家治國平天下)의 도이며 불교는 일신(一身)의 청정적멸(淸淨寂滅)만을 위하는 것이라고 하여, 척불(斥佛)과 유교진흥에 관한 긴 상소를 올렸을 정도로 강직한 성품을 지녔다.
1486년 당시 이조참판으로 있던 김종직에게 시를 지어 올려 그가 잘못된 국사에 대해 강직한 건의를 하지 않는 것을 거론하였다. 스승을 비판한 것이다. 추강 남효온(秋江 南孝溫, 1454-1492)의 「사우록(師友錄)」에 의하면 ‘도(道)란 겨울에 갖옷을 입고 여름에는 얼음을 마시는 것입니다. 날이 개면 나다니고 장마 지면 멈추는 것을 어찌 완전히 잘할 수야 있겠습니까? 난초도 세속을 따르면 마침내 변하고 말 것이니, 소는 밭을 갈고 말은 사람이 타는 것이라 한들 누가 믿겠습니까(誰信牛耕馬可乘)?’ 이에 점필재 선생은 그 운(韻)을 따라 화답하기를 ‘분수 밖에 벼슬이 높은 지위에 이르렀건만, 임금을 바르게 하고 세속을 구제하는 일이야 내가 어떻게 해낼 수 있으랴. 후배들이 못났다고 조롱하는 것 받아들일 수 있으나 권세에 구구하게 편승하고 싶지는 않다네(勢利區區不足乘).’라고 하였다. 이일로 스승과 제자 사이는 소원해져 버렸다.
1494년 경상도관찰사 이극균(李克均)이 은일지사(隱逸之士)로 천거하여 남부참봉이 된 뒤, 전생서참봉·군자감주부·사헌부감찰 등을 거쳐 형조좌랑에 이르렀다. 1498년 훈구파가 사림파를 제거하기 위해 무오사화를 일으켰을 때, 김종직의 문도로서 붕당을 만들었다고 하여 장형(杖刑)을 받고 평안도 희천에 유배되었다. 그때 선생의 나이는 45세였다. 여기서 운명적으로 정암 조광조(靜庵 趙光祖, 1482-1519)를 만났는데, 당시 조광조는 열네 살로 찰방인 아버지를 따라 평안북도 어천(魚川)에 가 있어 사제의 인연을 맺게 된 계기가 되었다. 47세 되던 해 한훤당은 전라도 순천으로 이배(移配)되어 호남유학의 형성단계에서 한 축을 이루었다. 그의 호남출신 제자로는 최산두(崔山斗), 유계린(柳季麟) 등이 있다. 유계린은 「표해록(漂海錄)」을 쓴 최부의 사위이고 기묘사림 유성춘과 「미암일기(眉巖日記)」를 쓴 유희춘의 아버지이다. 최산두는 기묘사화로 화순 동복으로 유배가서 김인후, 유희춘을 가르쳤다.
선생이 순천에 머무른지 5년여, 1504년 일어난 갑자사화로 목숨을 잃는다. 그러나 1506년 일어난 중종반정으로 곧바로 신원이 회복되었으며, 1507년 도승지에 추증되고 1517년 홍문관부제학 김정(金淨) 등의 상소로 다시 우의정에 추증되었다. 문묘배향은 중종 때부터 거론되었으며 50여년이 지난 광해군 때가 되어서야 이루어 졌으며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선생의 저술은 무오사화 때 이미 후환이 두려워 모두 불태워버렸고 친지 간에 오간 글의 경우도 소장하기를 꺼렸기 때문에 집안에 내려오는 「경현록(景賢錄)」이 전부이다. 그나마 10여 수의 시와 네댓 편의 문(文)에 불과하여 그의 도학을 문헌으로 알아볼 길이 없다. 그러나 사후 문묘종사 등 사림의 논의가 있을 때마다 그의 도학에 대해서는 거의 이론이 없는 칭송으로 가득하여 이를 모두 모아 편집한 「국역 경현집(1970, 한훤당기념사업회)」이 900쪽에 달한다.
선생을 배향한 서원은 대구 도동서원과 순천의 옥천서원, 나주 경현서원, 화순 해망서원, 상주 도남서원이 있다. 전남 쪽에 입향서원이 많은 것은 아마도 유배지에서 많은 지방 유생들에게 성리학을 전수한 까닭일 것이다.
서회(書懷)
처독거한절왕환(處獨居閑絶往還) 홀로 거처하며 한가히 살아가니 오가는 일 끊어져
지호명월조고한(只呼明月照孤寒) 밝은 달 바라보며 외로움 달래네.
번군막화생애사(煩君莫話生涯事) 번거롭게 그대는 생애의 일을 말하지 말게
수경연파만첩산(數頃煙波萬疊山) 넓은 바다 안개 낀 물결 속에 첩첩 산 뿐 이라네.
김굉필
'사림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 1548-1631) (1) | 2023.05.25 |
---|---|
한훤당(寒暄堂) 기행 (4) | 2023.05.25 |
하서 김인후(河西 金麟厚, 1510-1560) (0) | 2023.05.24 |
고봉 기대승(高峯 奇大升, 1527-1572) (0) | 2023.05.23 |
한훤당 김굉필, 김굉필의 학통과 조선전기 호남사림의 학맥 (2) | 2023.05.19 |